-
매운 라면 순위와 스코빌 지수라면에 대해서 2024. 7. 27. 12:13
매운 라면 순위와 스코빌 지수
우리나라에서 판매 중인 라면에는 강한 매운맛으로 스코빌 지수가 상당히 높은 제품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매운맛을 느끼는 정도는 주관적이지만 매운맛을 지수로 나타낸 스코빌 지수에 따라 순위를 정해보았는데요, 어떤 제품들이 있으며 얼마나 매운 수치 인지 그리고 스코빌 지수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코빌 지수란?
스코빌 지수란 미국의 약사 윌버 스코빌(Wibur Scoville, 1865~1942))이 만든 것으로, 고추과 식물에 들어있는 매운맛을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캡사이신의 농도를 수치를 스코빌 단위(SHU)로 정량화한 것을 말합니다.
스코빌 지수를 처음 측정하던 당시에는 고추 추출물 용액을 설탕물에 희석한 후 사람이 직접 맛을 평가하였는데, 맛을 보는 사람이 매운 맛을 느끼지 못할 때까지 추출물을 희석하여 SHU를 단위로 매겼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고추 추출물을 1000배 희석해야 매운맛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 스코빌 지수는 1000이 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사람이 직접 맛을 평가하기 때문에 맛보는 사람의 입맛에 따라서 매우 주관적일 수 있기 때문에 부정확하며, 사람이 굳이 고통스럽게 맛을 보는 원시적인 방법이었습니다. 현재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고추의 캅사이신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코빌 지수로 나타내고 있으며 더 정확하고 일관성이 있는 측정 방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매운맛을 내는 고추의 종류들은 인도와 멕시코에 많은 편인데, 태국이나 중국 사천지방 등 아시아 지역의 고추가 맵기로 유명하며 우리나라의 매운 청양 고추도 그에 비하면 그다지 맵지는 않은 편입니다. 매운맛의 스코빌 지수를 비교해 보면 멕시코 고추인 포블라노 고추는 1000~2000 SHU, 할라피뇨 고추는 2500~8000 SHU, 하바네로 고추 100000~350000 SHU, 세계에서 가장 매운 후추로 알려진 인도의 고스트 페퍼는 855000~1041427 SHU, 미국의 고추 캐롤라이나 리퍼는1400000~2200000 SHU입니다.
매운 라면 순위(국물)
최근 우리나라에서 매운맛을 내는 제품들이 많은 인기를 끌면서 매운맛에 대한 선호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요, 매운맛은 몸에 열을 내어 수분을 배출시키고 일시적으로 스트레스 해소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어서 매우 자극적이지만 찾게 되는 맛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매운 라면의 스코빌 지수에 따라 매운 라면의 순위를 매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운맛을 느끼는 스코빌 지수는 국물의 유무에 따라 맵게 느끼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볶음면등은 제외하고 국물이 있는 라면을 중심으로 1위부터 5위까지 조사해 보았습니다.
먼저 5위는 농심의 신라면 더레드입니다. 신라면 더레드 2023년 출시된 한정판으로 스코빌 지수가 7500 SHU에 달하는 기존 신라면(3400 SHU)보다 2배가량 매운 라면으로 구성은 면과 전첨분말스프, 후첨분말스프로 들어가 있으며, 후레이크의 식감을 살리기 위해서 소고기와 버섯 등이 기존보다 더 큼지막하게 들어가 있습니다. 국물 맛은 기존에 비해 더 진하며 청양고추의 양을 늘리고 후추, 마늘, 양파 등을 넣어 감칠맛을 살리면서 칼칼한 매운맛의 강도를 많이 높여 극강의 매운맛을 좋아하는 소비자들에게 아주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제품입니다.
4위는 팔도의 틈새라면 빨계떡입니다. 틈새라면 빨계떡은 스코빌 지수가 9413 SHU로 신라면의 매운 정도의 3배가량되는 매운 맛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라면 중에서도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틈새라면 빨계떡은 전국에 많은 체인점을 두고 있는 명동의 빨계떡에서 유래한 라면으로 '빨계떡'이라는 제품명은 빨간 국물, 계란, 떡이 들어갔다는 의미입니다. 이름처럼 틈새라면의 국물은 먹어 보지 않아도 극강의 매운 맛이 느껴질 정도로 검붉은 색을 띠고 있으며 실제로도 아주 매운 맛을 냅니다. 일부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들이 이 제품을 먹고 난 후 배탈이 나거나 설사를 하는 등 부작용도 종종 발생할 정도로 아주 맵고 자극적인 맛으로 정평이 나 있으니, 장이 약하신 분들은 멀리 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틈새라면 빨계떡의 구성은 면, 분말스프, 건더기 스프가 들어가 있으며 떡과 계란은 들어 있지 않으니 추가로 넣어도 좋으며 라면을 끓일 때 물의 양을 50ml정도 줄여서 조리하면 더욱 강한 매운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하니 극강의 매운맛을 좋아한다면 도전해 볼만 할 것 같습니다.
3위는 팔도의 킹뚜껑입니다. 이 제품은 컵형태의 사발면으로 나와 있고 스코빌 지수가 12000 SHU로 기존 왕뚜껑의 3배 가량 되는 매운맛입니다. 핵불닭볶음면의 스코빌 지수가 8700 SHU정도인 것에 비해도 팔도의 킹뚜껑은 그 수치를 훌쩍 넘겨 시중컵라면 중에서는 가장 매운맛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구성은 건더기 스프와 분말스프가 들어가 있으며 분말스프에 매운맛을 내는 성분들이 들어가 있어서 스프의 색또한 좀 더 짙게 느껴지며 스프의 포장도 건더기 스프는 붉은 색, 분말 스프는 검은색으로 대비를 시켜 먹기 전에도 매운맛을 증폭시키는 요소인 것으로 보입니다.
2위는 금비유통 불마왕라면입니다. 불마왕라면의 스코빌 지수는 14444 SHU로 미국의 아주 매운 고추로 유명한 캐롤리아나 리퍼를 넣어 극강의 매운 맛을 구현한 라면으로 화제가 된 제품입니다. 불마왕라면은 범상치 않은 겉포장으로 매운맛의 공포감을 조성하는데요, 캐롤리아나 리퍼 고추와 해골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만든 포장은 붉은색과 검은색으로 검붉은 피를 연상케 하고 세계에서 가장 매운 라면이라는 주의 문구를 맨 위에 넣은 것도 인상적입니다. 스코빌 지수 14444 이면 어느 정도의 맵기 인지 가늠이 안될 정도이지만 수치로만 봤을 때도 핵붉닭볶음면보다 1.5배가량 높은 수치이기 때문에 매운맛 극한 체험을 하게 될 것은 분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높은 스코빌 지수에 호기심으로 먹어 본 사람들에 의하면 맛의 평가는 그다지 좋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매운맛을 캐롤라이나 리퍼로만 낸 것이 아니라 물론 캡사이신도 많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매운맛이 너무 강해서 거부감이 든다고 하거나, 중소기업인 금비유통의 기술력 부족으로 품질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위는 염라대왕라면입니다. 염라대왕라면은 아름이라는 회사가 온라인에서만 유통하고 있는 라면으로 그 스코빌 지수는 21000 SHU에 달하며, 우리나라에서 출시한 라면 중에서 가장 매운 라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격 또한 시중 라면에 비해 매우 비싼 편으로 3개 묶음 9900원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구매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2위의 불마왕라면처럼 겉포장지의 아우라로 기괴함과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활활 타오르는 검붉은 불꽃과 빨간 고추 그리고 뒤이어 검은 형상의 염라대왕은 그 맛을 예상하기에 충분해 보입니다. 염라대왕라면은 면과 라면스프, 후레이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먹어본 사람들의 맛 평가 후기는 최고의 매운맛을 내기 위해서 매운 수치에만 치중하여 면이나 스프의 품질이 낮다는 평이며, 불마왕라면보다 더 맛이 없다는 혹평을 받고 있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매운 라면 순위와 스코빌 지수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최근 SNS나 인터넷에 매운맛을 내는 제품과 레시피 유튜버들의 매운 제품 먹방 등으로 인하여 매운 제품들은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며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매운맛은 통각으로 일시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비만을 예방하는 등 좋은 이점도 있지만 위장 기관을 자극하고 인공적인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의 지속적인 섭취는 인지능력 감소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니 유의해야겠습니다.
'라면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빔라면 브랜드 제품의 종류와 특징 (0) 2024.08.01 짜장라면 짜파게티 짜슐랭 짜왕 진짜장 더미식유니자장면 (0) 2024.07.29 라멘의 유래 역사 라면과 차이점 (0) 2024.07.25 너구리 라면 출시부터 현재까지 역사 종류 (5) 2024.07.24 팔도비빔면 역사 종류 (5) 2024.07.23